-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4년 2월 21일)주식 이야기/이슈 분석 2024. 2. 21. 19:17728x90반응형반응형
안녕하세요
만년 강대리입니다.
2024년 2월 20일 미국 증시는 하락 했습니다.
2024년 2월 21일 한국 증시는 하락 했습니다.
▶ 코스피
▶ 코스닥
728x90시장 동향
- 코스피는 -0.87pt 하락한 2,656.92pt 로 출발. 외국인 현물 매도, 선물 매수, 기관 코스피 200 매수 출발. 엔비디아 하락에도 불구하고 국내 반도체 상승 출발한 가운데, LG 계열 대형 IT, 화학, 자동차/부품/타이어, 증권/은행/보험, 지주사, 건설, 엔터/미디어, 조선 등 강세 출발. 그 외, 교육, 엔젤산업, 웹툰, 원격진료, 뉴럴링크 등 테마군 강세
- 개장 후 10 여분만에 외국인 코스피 순매수 전환하고, 선물 매수규모 확대하며 코스피 상승폭 확대. 다만, 수급 연속성 이어지지 않아 재차 조정세 전환. 시장 조정세 이어지는 가운데, 피엔티, 하나기술, 씨아이에스 등 2 차전지 장비주 강세가 특징. 또한, 반도체 소부장 반등 나오며 코스닥 상승 전환
- 코스피는 뚜렷한 주도업종 부재한 가운데, 미 증시 빅테크 약세 영향에 상방 제한. 21 일 엔비디아 실적 발표, FOMC 의사록 공개 등 이벤트 대기 속 관망심리. 코스닥은 헬스케어, 엔터 강세 속 에코프로 그룹주 약세가 지수 상승 제한. 엔켐 강세 이후 나노신소재, 윤성에프앤씨 등 2 차전지 소부장으로 강세 이동. 삼성전자 AI 반도체 개발 소식 및 저커버그 방한 소식 등에 온디바이스 AI 관련주 강세
- 신성델타테크 변동성이 코스닥 지수에 제법 큰 영향. 장중 한 때 코스닥 시총 5 위까지 올라가기도. 코스닥 지수 상승의 절반 가량 차지하는 모습 보이기도 함. 오후들어 매물 나오며 코스닥 지수 밀리는 계기로 작용
- 외국인은 코스피 운수장비, 운수창고, 기계 매수. 화학, 전기전자, 금융 서비스 매도. 코스닥은 반도체, 운송장비 부품 일부 매수. 기관은 코스피 전기전자, 화학, 금융, 운수창고 매수. 운수장비 매도. 코스닥은 방송서비스 정도만 매수
-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모멘텀 재료는 1 차 정점을 넘김. 이후에는 저 PBR 주는 종목별 장세 형태로 전환 예상. 반면, 기업들의 실적 우려가 개선되는 점은 방어 요인. 미국 기업들 실적 추정치가 상향되고 있음. 중국은 경기 부양에 나서며 회복 시도를 하는 중. 국내 기업들 사업 환경이 나빠지는 국면은 아님. 외국인 수급도 추세로는 아직은 양호한 편
1. 삼성전자, 차세대 범용 인공지능(AGI) 반도체 개발 착수 소식 및 저커버그, 이재용 회장 회동 조율 소식 등에 반도체 상승
- 전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연산의 두뇌 역할을 할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에 착수했음. 삼성전자는 AGI 전용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에 AGI 반도체 개발 조직을 신설했다며,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범용 인공지능(AGI)' 개발을 위해 미국 실리콘밸리에 특별 연구조직을 신설하고 이 분야 최고 전문가들을 영입했다고 전해짐
- 또한,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가 10 년 만에 한국을 찾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만날 예정. 저커버그는 이르면 이달 말 방한하며, 두 사람은 이번 만남을 통해 AI 반도체 수급을 비롯한 생성형 AI 관련 사업 논의를 가질 것으로 전해짐. 저커버그는 지난달 모든 분야에서 인간 지능에 가깝거나 능가하는 범용인공지능(AGI)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인 H100 35 만 개를 추가로 확보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음. 또한, 저커버그 CEO 는 尹 대통령 예방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메타는 자체 디자인한 칩을 일부 AI 컴퓨팅 인프라에 투입했는데, 이 때 칩을 'RISC-V' 기반으로 설계. ARM 의 Coretex 와 달리, 라이선스료, 로열티를 지불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에 유리하기 때문에, 메타, 구글 등 글로벌 테크 기업들이 자체 칩 개발에 RISC-V 활용을 확대하고 있음. 국내에서는 유일한 'RISC-V' 기반의 팹리스 기업인 자람테크놀로지가 부각될 수 있음
# RISC-V("리스크 파이브"로 발음)는 축소 명령어 집합 컴퓨터(RISC) 기반의 개방형 명령어 집합(ISA). 대부분의 ISA 와 달리, RISC-V ISA 는 어떠한 목적으로는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누구든지 RISC-V 칩과 소프트웨어를 설계, 제조, 판매할 수 있게 허가되어 있음
# 한편, 일론 머스크는 뉴럴링크의 뇌 칩을 이식한 최초의 인간이 완전히 회복되었다고 발표 환자는 생각만으로 마우스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음
- 한편, 삼성전자가 차세대 먹거리로 AI 반도체 기술인 Neuromorphic Artificial Intelligence Chip(뉴로모픽 AI 칩)를 향한 움직임을 본격화 하는 모양새. 현재 뉴로모픽 관련주로는 삼성전자를 고객사로 둔 네패스아크, 해당 기술을 연구중인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자람테크놀로지 등이 꼽힘. 통상 AI 에는 일반 시스템 반도체보다 대량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데 특화된 반도체가 사용되며, 크게 세 가지 세대로 분류되는데, 인간의 두뇌를 모방한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뉴로모픽’이 3 단계 AI 반도체로 구분됨. 시스템온칩(SoC)의 궁극적인 방향성은 결국 인간의 뇌를 닮은 뉴로모픽 반도체. 뉴로모픽 컴퓨팅은 기존의 CPU 와 메모리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에서 벗어나, 인간의 뇌가 뉴런과 시냅스로 구성된 것과 같은 인공 뉴런으로 구성된 병렬 네트워크로 연산, 메모리, 통신 기능을 융합한 형태. 현재까지 뉴로모픽 칩은 AI 반도체 중에서 가장 진화된 반도체로 불리움
- SK 하이닉스가 오는 3 월 세계 최초로 5 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HBM3E 양산을 시작한다는 소식도 전해짐. 다음달 중 초도물량을 엔비디아에 공급한단 계획으로 메모리반도체 빅 3(삼성전자·SK 하이닉스·마이크론) 가운데, SK 하이닉스가 가장 먼저 HBM3E 의 양산과 공급사 납품에 들어가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어지는 글로벌 HBM 경쟁에서 승기를 잡게 됐다고 알려짐
- SK 하이닉스, 네패스아크, 네패스,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자람테크놀로지, 앤씨앤, 테크윙 등 시스템반도체, 온디바이스 AI, HBM(고대역폭메모리),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재료/부품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 (by 루팡) 삼성 엑시노스 2400 칩 성능 테스트, 광추적 성능 퀄컴 스냅드래곤 8 Gen3 능가
- 골든리뷰어가 발표한 평가 결과에 따르면, 휴대폰 레이 트레이싱(삼차원 컴퓨터 그래픽에서 사용하는 기법의 하나. 가상적인 광원에서 나온 빛이 여러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경로를 추적하면서 각 물체의 모양을 형성하는 기법) 성능을 테스트하는 3D 마크 솔라베이 테스트에서 삼성 엑시노스 2400 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고 26 일 밝힘
-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삼성 엑시노스 2400 칩은 8642 점, 9.3W 의 전력을 소모했고, 비교를 위해 퀄컴 스냅드래곤 8 Gen3 칩은 8601 점, 11.7W 의 전력을 소모했음
- 이는 삼성의 Exynos 2400 칩이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하는 게임에서 가장 강력하고 효율적인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레이 트레이싱에서 AMD 의 RDNA 3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Xclipse 940 GPU 의 뛰어난 성능을 부각시킴
- 네패스아크 : 주요 고객사의 2024 년 스마트폰내 엑시노스 탑재량 하이엔드 비중 확대와 3 년 만에 재출시하는 PE 시리즈 탑재 등 전체적인 물량 증가에 따른 네패스아크의 실적 개선이 크게 일어날 것. 온디바이스의 실질적인 수혜주, 실적 턴어라운드가 클 것으로 기대돼, 관련 밸류체인 중 톱픽으로 제시
- 이 밖의 엑시노스 관련주 : 하나마이크론, LB 세미콘, 두산테스나 등
2. 中 CATL, 리튬 광산 감산 여파 지속 등에 리튬 관련주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중국의 1 위 2 차전지 업체인 CATL 이 중국 현지 리튬 채굴 및 가공 공장 감산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짐. 중국 펑파이 신문은 중국 장시성 이춘에 위치한 CATL 의 리튬광석 공장이 현재 채굴 활동을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춘공장은 춘제 연휴기간으로 인해 근로자들 복귀가 늦어지면서 현재 조업이 재개되지 않은 상태라고 보도했음
- 업계 관계자들은 공장이 재가동되더라도 감산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이와 관련 "이춘공장에서 채굴되는 리튬의 양이 당초 계획보다 감소했고, 특히 탄산리튬 가격이 톤당 10 만위안 이하로 떨어진 이후부터는 리튬 채굴량이 확연히 감소했다"며, "공장 재가동 이후에도 감산이 지속될 것"이라고 언급했음
- 강원에너지, 코스모화학, 대보마그네틱, 천보, 중앙첨단소재, 하이드로리튬 등 상승
- 한편, 중국 배터리 생산업체인 CATL 이 중국의 Jianxiawo 광산 폐쇄 가능성에 따라 호주의 리튬 관련 업체 주가 상승. 호주 최대 리튬 광산 회사인 Pilbara Minerals 는 +4.9%, Liontown Resources 는 +7.7% 상승
- Jianxiawo 광산은 리티아운모(lepidolite)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리튬 생산원가가 높은 방식. 해당 광산은 전 세계 공급량의 약 3%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
# (by Nihill's view of data & information) 리튬가격 상승의 또 다른 요인 : 채굴원가의 상승
- 향후 리튬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이유는 수요 측면 외에도, 채굴원가의 상승도 주요 원인 중 하나. 리튬의 매장량은 리튬에 대한 탐사가 계속 이어지면서 빠르게 늘고 있지만, 중요한 것은 채굴시의 경제성
- 석유의 예를 들어 보면, 지표면에 가까운 유정과 심해에 매장되어 있는 유정의 채굴비용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움
- 염호의 경우, 전 세계에 매우 많은 염호들이 있지만, 남미의 건조한 고원지대(리튬 삼각지대) 염호에서의 채굴 비용이 가장 저렴하며, 광산의 경우도 호주에서 채굴되는 리튬광석의 채굴비용이 타지역 대비 월등히 높은 경제성을 지니고 있음
- 리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경제성이 높은 염호 및 리튬광산의 채굴량만으로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경제성이 낮은 광산이 개발되어져야 함. 이미 가장 높은 경제성을 지닌 염호/광산은 이미 개발이 완료된 상태
- 또한, 기존 광산의 경우도 채굴이 진행될수록, 품위(광석 속에 함유되어 있는 금속의 정도)가 높은 리튬정광의 매장량이 소진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광산의 경제성도 계속해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줌
- 전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리튬광산을 보유하고 있는 호주의 실례를 보면, 호주광산의 평균 정광등급이 계속 감소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음
- 호주에서 가장 경제성이 높은 리튬 광산인 Mt. Cattlin 을 예로 들면, 2020 년에 생산되던 정광의 품위가 6%였는데, 2023 년 2 분기에는 5.3%로 하락
- 또한, 광산 품위 하락 외에도 생산원가 측면에서도 인건비의 상승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채굴비용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는데, Mt. Marion 을 예로 들면, 2021 년 상반기 생산원가가 톤당 429.6 호주달러 였으나, 2023 년 상반기에는 톤(Dry Ton)당 777 호주달러로 81% 증가
- 석유가 그러했듯이, 리튬 또한 풍부한 매장량에도 불구하고, 채굴에 대한 경제성으로 인해 리튬의 가격은 계속해서 올라갈 수밖에 없는 구조를 지니고 있음
- 때문에, 높은 경제성을 지닌 염호/광산을 확보하고 있는 업체들은 리튬의 가격이 올라갔을 때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
- 이런 이유로 경제성 높은 아르헨티나 염호와 호주 리튬광산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포스코홀딩스의 리튬 사업은 장기적으로 유망할 것
3. LFP 배터리 성장에 따른 소재 비중 확대 분석에 관련주 상승
# (by 유안타증권) LFP 배터리 기술 방향 중 CNT, Si 음극재 주목
- LFP 배터리의 기술 방향은
1) 리튬이온 확산 속도 및 전기전도성 개선(+저온 특성 개선),
2) 에너지밀도 향상으로 구분
- 이를 위해 1) 탄소코팅(CNT), 2) 원소 도핑(LMFP, LMFP+NCM), 3) Si 음극, 4) 리튬염 변경 등이 진행
- 국내 기업들이 LFP 양산을 시작하더라도, 북미 이외의 지역에서 경쟁력을 갖기 어려우며, 북미도 예산 감소 정책으로 가게 되면 LFP 판매시 수익성이 더욱 악화될 수 있음
- LFP 배터리 저온 특성 개선을 위해 CNT 탄소코팅은 고스펙으로 적용이 확대, Si 음극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음
- LFP 배터리 국내 기업 투자전략은 ‘Si 음극, CNT 소재’에 주목할 필요있음
- Si 음극재, LFP 보단 삼원계 EV 적용 확대에 주목
- 아직까지 Si 음극은 테슬라를 제외하면 프리미엄 EV(삼성 SDI P5(Si 5% 예상), P6(Si 7~10% 예상) 적용 차종, 포르쉐 타이칸, 아우디 e-TronGT 등) 에만 적용 중
- LFP 배터리에 적용이 본격 확대되고 있는 소재는 CNT
- 제이오의 경우, 2023 년 4 분기 중국 고객사 비중이 확대...2023 년 연간 중국 고객사 비중이 약 12%수준까지 올라온 것으로 추정. 그 전에는 프리미엄급 차종에만 적용하던 중국 고객사가 보급형 적용을 확대하기 시작한 것으로 예상
- 2023 년 말 기준 LFP 배터리 양극 도전재 비율은 카본블랙: MWCNT(Multi Wall): TWCNT(탄소나노튜브)=7.8:2:0.2 수준으로 추정되며, 향후 TWCNT 비중이 점점 확대될 것으로 기대. 나노신소재, 제이오 관심
4. LG 디스플레이, LCD 생산 中 공장 매각 추진 속 OLED 패널 중심 사업 재편 및 지난해 4 분기 OLED 패널 출하량 급증 소식 등에 관련주 상승
- 언론에 따르면, LG 디스플레이가 TV 용 액정표시장치(LCD)를 생산 중인 중국 광저우 공장을 중국 업체 2, 3 곳에 매각하기 위해 협상중인 것으로 전해짐. 최근 BOE, 차이나스타(CSOT) 등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LG 디스플레이 측에 인수의향서(LOI)를 낸 것으로 알려졌으며, 현재 가격을 두고 이견을 보이고는 있으나 매각 수순을 밟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광저우 공장은 한국 기업이 TV 용 LCD 패널을 생산하는 마지막 공장으로, 지난해 6 월 사업을 접은 삼성디스플레이에 이어 LG 디스플레이도 광저우 공장을 매각하면, 한때 세계 1 위를 차지했던 한국산 대형 LCD 패널의 시대가 저물게 될 예정. 한편, 대형 LCD 사업에서 손을 뗀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는 스마트폰, 모니터 등 소형 LCD 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음
- 한편, 전일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플라이체인(DSCC)에 따르면, 지난해 4 분기 OLED 패널 출하량은 2 억 9,200 만대를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31%, 전분기대비 41% 급증한 것으로 알려짐
- 나노신소재, 필옵틱스, 덕산네오룩스, 예스티, 피엔에이치테크 등 상승
5. 호주, 해군 전력 강화 속 韓 조선업계 참여 요청 소식에 조선, 조선기자재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호주 정부가 신형 호위함 3 척을 해외에 발주하는 등 해군 전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한국 조선업계에 참여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짐. 조선업계에 따르면, 리처드 말레스 호주 부총리 겸 국방장관은 지난 20 일 향후 10 년간 111 억호주달러(약 9 조 7,200 억원)를 추가 투자해 신형 호위함 11 척과 개발 단계에 있는 신형 유무인 겸용 수상함(LOSVs·large optionally crewed surface vessels) 6 척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신형 호위함 11 척 중 우선 필요한 1 차 조달분 3 척은 한국, 독일, 일본, 스페인 조선업체에서 조달할 계획으로 알려졌음. 특히, 한국 업체 중에는 HD 현대중공업 특수선 사업부에만 호위함 사업 관련 초청을 한 것으로 알려짐
- 중국이 해군력을 강화하면서 태평양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캐나다·필리핀에 이어 호주까지 해군력 확대 경쟁에 나서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방산·조선업계에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삼성중공업, HD 현대중공업, HD 한국조선해양, 세진중공업, 비엠티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 특히, HD 현대중공업은 세계적인 방산 기업인 영국 밥콕사와 해외 수출을 위한 잠수함 개발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힌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728x90반응형'주식 이야기 > 이슈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4년 2월 23일) (0) 2024.02.23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4년 2월 22일) (0) 2024.02.22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4년 2월 20일) (1) 2024.02.20 [공매도] 공매도 거래대금 기준 공매도 순위 및 상위 종목 (2024년 2월 19일) (0) 2024.02.19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4년 2월 19일) (1) 2024.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