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1월 23일)주식 이야기/이슈 분석 2025. 1. 23. 22:01728x90반응형반응형
안녕하세요
만년 강대리입니다.
2025년 1월 22일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 했습니다.
2025년 1월 23일 한국 증시는 하락 이었습니다.
▶ 코스피
▶ 코스닥
728x90시장 동향
- 코스피는 -5.82pt 하락한 2,541.24pt 로 출발. 외국인 현선물 매도, 기관 현물 매도, 선물 매수 출발. 반도체/소부장, 2 차전지 하락 출발한 가운데, 경영권 이슈 붉어진 티웨이항공, 제약/바이오, 증권/은행/보험, 전선, 통신, 건설, 엔터 등 상승 출발
- 미국 주식시장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영향력에 AI 관련주 주도 상승. 금리 & 달러인덱스는 반등
:최대 5,000 억달러(초기 1,000 억) 규모 AI 인프라 투자 발표한 스타게이트에 오라클 등 관련주 상승
:관세 보류 기대에 전일 진정됐던 금리, 달러 인덱스는 중국 등 관세 부과 지속 검토에 반등
- KOSPI 는 별다른 이슈 부재한 가운데, 금리&달러 동반 반등에 외국인 자금 이탈. 장 초반 약보합 출발했던 시장은 개장 초반 이후 주가지수선물이 급격히 밀리며 -1%대 하락
:대부분의 업종 하락하는 가운데, 그간 낙폭 과대 인식 제약/바이오, 건설 업종 등 일부 업종 상승
:티웨이항공, 대명소노의 경영권 인수 도전 소식에 장중 52 주 신고가 경신
:삼성바이오로직스, 전일 24 년 연매출 기준 4.5 조로 역대 최대 실적 발표. 장중 4% 이상 상승
- KOSDAQ 은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반락. 경제 성장률 부진에 투심 약화. SK 하이닉스, HD 현대중공업 등 대표 종목 실적 호조에도, 관련 밸류체인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며 반락
:트럼프 관련 테마(피팅/밸브, LNG, 우주항공, 조선기자재 등 트럼프 관련 테마 차익실현 매물 출회) 약세
:그 외, 의료 AI(루닛, 대장암 치료 예측 학술지 게재), 비만치료제(펩트론, 1 개월 지속 비만치료제 해외 특허 취득) 등 강세
- 코스피는 외국인, 기관 동시 순매도. 국채금리 및 달러지수 소폭 반등영향. 트럼프 취임 이후 전일 상승했던 증시는 재료소멸 이후 차익실현 매물 출회. 전일 미국증시도 3 대지수 모두 상승 추세를 보였으나, AI 인프라 투자계획인 '스타게이트' 호재 영향을 받은 기술주를 제외하면, 중소형주를 비롯한 나머지 업종은 하락하는 추세 나타났음. 국내 증시도 트럼프 정책 수혜 기대감에 상승했던 조선주와 전력주, 전일 AI 인프라 투자 기대감에 상승했던 반도체 업종 등 약세. 호재 반영 이후 차익실현 매물 출회. 일론머스크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대한 의구심 제기와, SK 하이닉스 실적발표 이후 셀온 매물, 삼성전자의 엑시노스 칩을 탑재하지 않은 S25 신작 영향 등은 반도체 업종 약세를 강화하는 요인
- 한편, 다음주 설 연휴를 앞두고있는 점도 투자자들의 차익실현 움직임을 강화. 전고점/저항선 부근이기도 한 코스피 2,520~2,530 구간에서 매물소화 영향 또한 더해진 것으로 생각. 조선업종 차익실현 매물 출회. 공개된 트럼프 정책 중, 구체적 수혜항목 언급 부재. HD 한국조선해양은 3.7 조 규모 수주공시에도 차익실현 매물 출회, HD 현대마린솔루션, 삼성중공업, STX 엔진 등 조선 밸류체인 대부분 약세. 일론 머스크, 트럼프 AI 인프라 투자계획에 대해 현실성이 없다고 비판하며, AI 반도체 관련 업종 차익실현 매물 출회. SKC, 하나마이크론 등 하락. SK 하이닉스의 경우, 역대 최대 실적 기록하였음에도, DRAM 과 NAND 가이던스 톤다운으로 차익실현 매물 강화. 삼성전자는 S25 신작 출시 이후 엑시노스칩 부재 영향 등으로 약세. 바이오업종 삼성바이오로직스 24 년 연매출 4.5 조로, 역대 최대 실적 발표하면서 강세. 루닛, 대장암 관련 논문 학술지 게재. 에이비엘바이오, JP 모건 헬스케어 이후 사노피보다 더 큰 기술수출 전망한다 밝히며 강세. 특징주로 LS ELECTRIC 어닝 서프라이즈로 급등. 경영권 분쟁 현실화된 티웨이항공 주가 52 주 신고가 경신
- 업종 Top3: 종이·목재(+2.06%), 제약(+1.60%), 건설(+0.79%)
- 업종 Bottom3: 일반서비스(-2.76%), 유통(-2.63%), 기계·장비(-1.56%)
# 지수 하락 요인 정리
◎ 무역 갈등 중국 측이 미국산 반도체 반덤핑 조사를 한다는 보도. 텍사스인스트루먼트가 첫 대상이라고 하는데, 이후 확산. 미국의 관세 부과 등 상황 악화를 우려하는 시각
◎ AI 5,000 억달러 프로젝트 의구심 미 증시 강세 요인이었던 AI 5,000 억달러 프로젝트에 대한 일부 의구심. 머스크가 소프트뱅크의 자금력에 의구심을 제기하는 발언이 전해지며 관련 재료가 희석된 측면
◎ 일정 부담 내일 일본 통화정책 회의에서 금리 인상 유력. 이전 금리인상 때 엔달러 환율 하락, 엔캐리 자금 이탈 우려 등에 증시가 크게 흔들렸음 특히, 당시 우리나라 주요 기술주들이 주된 매도 대상. 관련 우려 일부 작용하는 듯 또한, 다음주 긴 휴장을 앞두고 있다는 점
◎ 셀온 SK 하이닉스가 호실적을 발표했으나, 재료 노출로 보는 매물. 또 일부는 서프라이즈가 아닌 예상 부합이라는 점도. 향후 가이던스가 보수적으로 제시되었다는 점도...
◎ 성장률 부진 4 분기 GDP 예상 0.2% 하회한 0.1%로 발표. 국내 경기에 대한 의구심
* 이 중, BOJ 통화정책 회의 앞둔 경계감이 초반에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 아닌가 추정. 큰 흐름이 바뀐다기 보다는 단기 변동성 구간으로 판단
# 일본 금리인상 확률 매트릭스
1. 트럼프 대통령 '미국 에너지 해방' 행정명령 서명에 따른 전기차 성장률 둔화 전망 등에 2 차전지 하락
- 하나증권은 ‘미국 에너지 해방(Unleashing American Energy)’ 행정명령의 결과로 전기차 성장률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특히, 캘리포니아 포함 12 개 주의 ‘2035 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를 허용했던 EPA 의 승인은 폐기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하며, EPA 가 규정하고 있는 연비 규제는 대폭 완화될 전망. 아울러, IRA 7,500 달러 세액 공제 보조금은 조문 해석의 여지가 있으나, 상기한 ‘자금 지급 중단’ 조항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사실상 지급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 또한, 실적 factor 의 하향 조정, Valuation factor 의 중립적 영향으로 인해 주가 측면에서 추세적 상승을 기대할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분석
- 한편, 트럼프는 취임식 직후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들을 변경 및 취소하는 ‘미국 에너지 해방(Unleashing American Energy)’ 행정명령에 서명했음. 해당 행정명령 중 전기차 관련한 내용은 크게 세 가지이며,
1) Section 2(정책 조항) :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폐지하고 보조금을 삭감하며, 주(州)별 배출가스 규제를 종료한다. 전기차를 다른 기술보다 우대하는 보조금과 정부의 시장 개입을 제거한다.
2) Section 4(행정 명령 취소에 관한 조항) : IRA 법안 및 기후변화 관련 행정명령에 따라 설립된 사무소들을 폐지(abolish)한다. 폐지된 기관이나 프로그램에 할당됐던 자금은 전용 및 처분한다.
3) Section 7(그린 뉴딜 종료에 관한 조항) : IRA 법안에 기반한 자금 지급을 중단한다(immediately pause) 등임
- LS 머트리얼즈, 에이에프더블류, 엠오티, 금양, 파인텍, 원익피앤이, 엘앤에프, SKC, 코스모신소재 등 전기차/ 2 차전지 테마가 하락
# Wedbush, 테슬라 목표 주가를 $515 에서 $550 로 상향 조정
"향후 4 년간 자율주행 및 AI 스토리에 '완전한 게임 체인저'가 될 것"
"테슬라의 2025 년 수요와 인도량에 대한 자신감이 커지고, 자율주행 기술의 미래가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빠르게 실현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테슬라 목표 주가를 $515 에서 $550 로 상향 조정합니다. 지난 몇 주간 워싱턴의 여러 관계자들과 대화한 결과, 트럼프 행정부의 다음 4 년이 테슬라와 머스크에게 자율주행 및 AI 스토리에서 '완전한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는 자신감이 커졌습니다. 2025 년 기준 강세 시나리오(bull case) 목표 주가는 여전히 $650 로 유지됩니다. 우리는 테슬라에 대해 '아웃퍼폼(OUTPERFORM)' 등급을 유지합니다."
# 테슬라는 2 월 1 일부터 캐나다의 모든 모델에 대한 가격이 크게 인상된다고 발표 가격 변경
- 모델 3: $4,000-$9,000 인상(트림에 따라 다름)
- 모델 Y: 모든 트림에서 $4,000 인상
- 모델 S/X: 모든 트림에서 $4,000 인상
- 아마 수요가 엄청나게 늘고있을 가능성이 높음
2. 주요 기업 지난해 4 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분석 및 차익실현 매물 등에 조선/조선기자재/건설기계 하락
- 신한투자증권은 조선/기계 주요 종목들이 4Q24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HD 현대중공업은 예상치를 상회, HD현대미포와 HD 현대마린솔루션, 한화엔진은 예상치를 하회했다고 분석. 세부적으로는 HD 현대미포는 매출액 1 조 4,228 억원(+29%), 영업이익 469 억원(흑전), 영업이익률 3.3%(+9.2%p)으로,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9%, 영업이익 -22%(컨센서스 604 억원)을 기록. HD 현대마린솔루션은 매출액 4,634 억원(+0% QoQ), 영업이익 659 억원(-21% QoQ), 영업이익률 14.2%(-3.9%p QoQ)으로,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3%, 영업이익 -24%(컨센서스 866 억원)을 기록. 한화엔진은 매출액 3,263 억원(+17%), 영업이익 182 억원(4Q23 1 억원), 영업이익률 5.6%(+5.5%p)으로,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8%, 영업이익 -10%(컨센서스 202 억원)을 기록
- 아울러, HD 현대인프라코어, HD 현대건설기계도 예상치를 하회했다고 분석. HD 현대인프라코어는 매출액 9,389 억원(-13%), 영업이익 -109 억원(적전), 영업이익률 -1.2%(-9.5%p)으로,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1%, 영업이익 적전(컨센서스 377 억원)을 기록. HD 현대건설기계는 매출액 7,891 억원(-7%), 영업이익 353 억원(+32%), 영업이익률 4.5%(+1.3%p)으로,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8%, 영업이익 -20%(컨센서스 439 억원)을 기록
- 한편,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도 출회되는 모습. 조선/조선기자재 테마는 트럼프 2 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한미 조선업 협력 및 LNG 투자 확대 기대감 등 정책 수혜 기대감에 시장에서 부각된 바 있음
- HD현대미포, HJ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KS인더스트리, HD현대마린솔루션, STX 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
- 현대에버다임, 대모 등 건설기계 테마가 하락
3. 美 5,000 달러 규모 AI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스타게이트' 기대감 지속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트럼프 美 대통령은 지난 21 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샘 올트먼 오픈 AI 최고경영자(CEO), 래리 엘리슨 오라클 회장과 함께 미국 AI 인프라 투자를 위해 세 회사가 '스타게이트'라는 합작투자 법인을 설립한다고 발표. 초기에 1,000 억달러를 투자를 한 뒤, 향후 4 년간 최대 5,000 억달러까지 투자를 늘릴 계획으로,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 MGX 등도 협력사로 참여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JV 자금 조달 세부 사항 보도
: 오픈 AI 와 소프트뱅크가 각각 190 억 달러 조달. 오라클과 MGX 가 70 억 달러. 합산 450 억 달러
: 나머지 자금은 LP 참여와 부채 금융으로 충당. 초기 1,000 억 달러 대비 550 억 달러 부족
- 업계에선 AI 를 고도화해 인공 일반지능(AGI)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풀이되고 있음. AI 가 학습할 데이터 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해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증했지만,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으로 AGI 를 상용화하기 위해선 대형 데이터센터가 필수임. 오픈 AI 는 이를 위해 작년부터 5GW 급 데이터센터 설립을 검토해왔지만, 오픈 AI 의 자본만으로 투자를 확대하기 어려워, 이러한 선택을 한 것으로 전해짐
- 이에, 지난밤 뉴욕증시서 오라클(+6.75%)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엔비디아(+4.43%), 마이크로소프트(+4.13%)를 비롯해 오픈 AI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이사회 의장을 맡은 핵 전력 공급 회사 오클로(+9.34%), 소프트뱅크가 최대주주인 Arm(+15.93%)도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 마음 AI, 폴라리스 AI, 에스피소프트, 엠로, 엑셈 등 일부 AI 챗봇(챗 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 (by 엄브렐라 리서치)
Bofa 의 1 월 아시아 펀드매니저 서베이에 나온 ‘반도체 사이클에 대한 기대감’ 항목
- 12 월 23%에서 1 월 30%로 모멘텀 회복중
- 작년 7 월부터 꺾였고, 9 월과 11 월을 바닥으로 개선
4. 저평가 분석에 일부 화장품 상승
# (by 신한투자증권) 화장품; 선순환 타는 수출 모멘텀
Good 1) 실적 플레이 가능한 기업은?
- 작년 6 월 화장품업종 주가 피크 쳤을 때 기업들의 평균 P/E 20 배, 현재는 10 배 초반에 불과
- 수출 성장 스토리 여전히 유효해 대부분 기업들 밸류에이션 콜 가능
- 안타깝게도 4Q24 실적이 컨센서스 웃돌 것으로 보이는 기업 많지 않음
- 3Q24 대비 4Q24~1Q25 실적 회복 전망되는 기업은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아이패밀리에스씨, 에이피알
2) 성장 사이클은 초기에서 중기로, 기초에서 색조까지
- 1 월까지도 미국 비롯한 일본, 유럽, 동남아 등 수출이 최소 한자리~두자리 성장 추세 유지 중
- 종목으로 연결해보면 상장 브랜드사 중 아모레퍼시픽의 라네즈 브랜드가 기대 이상의 성과
- 에이피알은 4Q24~1Q25 미국향 화장품 실적 유의미하게 증가, 아이패밀리에스씨도 공급 이슈 해소 후 1Q25 미국향 매출 증가 기대
- OEM 사 중에서는 코스맥스 최선호. 직전분기대비 소폭이나마 실적 회복 기대해볼 수 있는 구간
- 펌텍코리아, 아이패밀리에스씨, 코스맥스 등 상승
# (by 하나증권) 브이티 주가 하락 관련 코멘트
- 미국 진출에 있어 팝업 진행, 인플루언서 시딩 확대 등의 비용 투자는 필수적이며 계획된 부분
-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매출 포텐셜에 대해서 보수적으로 소통할 수 밖에 없음
- 이것이 매출에 대해 자신감이 없다 또는, 부진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 또한, 중국에 대해서도 위생허가 받은 것은 너무나 긍정적
- 중국 소비가 아무리 부진하긴 하나, 국내 시장보다 5 배 이상은 큰 시장
- 동사는 전세계 1 위, 2 위 시장을 계획대로 진출 준비에 한창, 또한 그외 국가로의 벤더 확보도 다양하게 확충해놓음
- 당사가 2025 년 수익성 추정치를 소폭 하향한 것은 미국/중국에 대해 투자가 들어가는 것은 예정된 바이며, 이에 따른 효과(외형 증가)는 아직 미정, 이후 해외 성과가 가늠되는 시점에 유기적으로 반영할 것이기 때문
5. 美 우주항공 약세 영향 등에 관련주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서 로켓랩(-5.28%), 인튜이티브 머신스(-2.14%), 버진갤럭틱(-2.19%), 비아샛(-8.81%) 등 우주항공 관련주가 약세를 보임. 이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화성계획' 발언 속 급등한 데 따른 차익 매물이 출회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 트럼프 美 대통령은 20 일(현지시간) 취임식에서 "미국은 부를 늘리고, 영토를 확장하고, 도시를 건설하고, 새롭고 아름다운 지평선으로 성조기를 들 것"이라며, "화성에 성조기를 꽂기 위해 미국인 우주비행사를 보내는 등 별을 향해 우리의 '매니페스트 데스티니(명백한 운명을 의미하는 미국의 영토확장 관련 표현)'를 추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 AP 위성, 에이치브이엠, 쎄트렉아이, 컨텍,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가 하락
6. 美 양자컴퓨팅 하락 영향에 관련주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우려 완화, 대규모 AI 투자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세를 이어간 가운데, 실스크(-10.56%), 아이온큐(-7.22%), 컨텀 컴퓨팅(-3.39%), 리게티 컴퓨팅(-2.72%) 등 양자컴퓨팅 관련주들은 하락세를 보임.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양자컴퓨팅에 대한 육성 의지를 밝힐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지만, 취임 후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자, 실망 매물이 출회되는 모습
- 케이씨에스, 딥마인드, 아톤, 엑스게이트, 시큐센, 한국첨단소재, 코위버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하락
728x90반응형'주식 이야기 > 이슈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2월 3일) (1) 2025.02.03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1월 31일) (0) 2025.01.31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1월 22일) (3) 2025.01.22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1월 21일) (0) 2025.01.22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1월 20일) (1)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