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3월 21일)주식 이야기/이슈 분석 2025. 3. 21. 22:32728x90반응형반응형
안녕하세요
만년 강대리입니다.
2025년 3월 20일 미국 증시는 하락 마감 했습니다.
2025년 3월 21일 한국 증시는 혼조 이었습니다.
▶ 코스피
▶ 코스닥
728x90시장 동향
- 코스피는 -3.20pt 하락한 2,633.90pt 로 출발. 외국인 코스피 200, 선물 매수, 기관 코스닥 매수, 선물 매도 출발. 마이크론 호재에 힘입어 반도체/소부장 상승 출발한 가운데, 제약/바이오, 온디바이스 AI, 음원/음반, CXL, 소매유통, 여행/화장품 등 강세 출발
- 미국 주식시장은 ①4 월 2 일 관세 시행 앞둔 불안감과, ②FOMC 결과 부정적 해석 여파로 하락 마감
:ECB 라가르드 총재, 미국과 유럽의 관세 분쟁으로 유로존 성장률 0.5%p 감소 전망. 4 월 2 일 관세 발효
:FOMC 는 경제 전망 요약(SEP)에서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 물가 상승률 전망치↑. 관세 여파
- KOSPI 는 외국인 반도체 순매수 지속. 시총 상위 대형주 영향에 지수 상승. 방산은 유증 영향에 하락
:외국인 현물 5 거래일, 선물 6 거래일 연속 순매수. 오전 기준 현물 3,900 억원, 선물 4,600 계약 이상 순매수
:마이크론 호실적 발표. 메모리 수요 증가로 인한 가이던스 상향. 시간외 상승, 국내 반도체 상승 지속
:외국인 5 거래일 연속 삼성전자 순매수(SK 하이닉스 3 거래일). 삼성전자는 RSI 75 돌파. 단기 과매수 영역
:①P 상승(DRAM,NAND), ②Q 반등(중국 수요 증가, 관세로 인한 재고 선제 축적) 등 업황 개선 기대감
:IDC, ①AI 인프라 구축, ②PC/스마트폰 교체 주기 도달, ③메모리 수요 증가로 반도체 산업 성장 기대
:금일 마이크론 HBM TAM(시장 규모) 350 억 달러로 상향(전분기 300 억), SK 하이닉스 상대 상승폭 확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발표에 따른 여파로 낙폭 확대. 산업재 차익실현 빌미로 작용
- KOSDAQ 은 HLB 그룹주 부진이 지수 하방 압력으로 작용. 3 거래일 연속 하락. FDA, HLB 간암 신약 보완요청서 재발급. HLB 그룹주 속락에도 그외 종목으로 수급 이동하며 하방 지지
:마이크론 실적 호조에 수급은 반도체 소부장으로 집중되는 모습. 하나마이크론, 리노공업, 이오테크닉스, 주성엔지니어링, ISC 등
:제약바이오(HLB 제외 대형주, 반발매수세에 반등), 로봇(GTC 2025 소화 후 상승 모멘텀 부재에 약세)
- 전일 발표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대규모 유상증자 소식, 한화 계열의 방위산업 계열사들의 하락이 장 초반 코스피 하락을 견인하였음. 그럼에도, KOSPI 반등을 주도한 것은 반도체 업종. 최근 업황 반등 기대감에 이어, 미국장 종료 이후 발표된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어닝서프라이즈 더해지면서 상승 추세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
- 국내 반도체 업종으로 훈풍 유입되며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외국인 매수세 지속.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등 대형주들이 상승하면서 반도체 섹터와 KOSPI 반등을 견인하고 있음
- 한편, 코스닥은 HLB 이 '리보세라닙' FDA 승인 불발로 장중 하한가를 기록하며 바이오업종 약세. 반도체, 엔터 등 주요 업종이 분전하고 있음에도, 코스닥 지수 하락을 견인하고 있음.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였던 전일 글로벌증시 보다는 업종&산업별 이슈로 지수 등락 나타나는 중
- 반도체 관련 업종 강세. 전일 마이크론의 호실적과 더불어 전년 동기대비 증가한 수출액 등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 지속. 심텍, 태성, 티엘비 등 GTC2025 에서 소캠(SOCAMM) 공개되면서 PCB 업체 강세
- 한화 그룹주 방산주 하락. 전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3 조 6 천억원 규모 유상증자 공시에 한화,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등 일제히 약세
- HLB 그룹주 하락.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이 미국 FDA 승인이 또 다시 불발되며 HLB, HLB 생명과학, HLB 제약 일제히 급락하며 KOSDAQ 하락 견인
- 원전 관련 업종 강세.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한국의 민감 국가 지정에 대해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합의했다는 소식 전해지면서, 두산에너빌리티, 비에이치아이, 한전기술 등 원전 관련 업종 상승
- 중국소비관련 업종 강세. 정부가 20 일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 비자 면제를 공식화하며 한한령 해제 기대감 상승. 파라다이스, 롯데관광개발 등 카지노 업종과 에스엠, 하이브 등 엔터업종 상승
- 업종 Top3: 기계·장비, 유통, 전기·전자
- 업종 Bottom3: 금속, 운송장비·부품, 의료·정밀기기
:다음주 25 일 알래스카 주지사 방한 일정. LNG 프로젝트 논의 전망. 관련주 모멘텀 유효. 지속 관찰 필요
:반도체 업종 지수 하방 지지하는 가운데, 다음주 지수 향방 가를 일정은 부재. 4 월 실적시즌 돌입
1. 美 마이크론 실적 호조, 국내 반도체 수출 증가세 지속 등에 관련주 상승
- 미국 최대 컴퓨터 메모리 칩 제조업체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20 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마이크론의 2025 회계연도 2 분기(12~2 월) 매출은 38% 증가한 80 억 5,000 만 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79 억 1,000 만 달러)를 웃돌았으며, 조정 주당순이익도 1.56 달러로 시장 예상치(1.43 달러)를 상회했음. 특히, HBM 매출이 10 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이는 강력한 실행력과 AI 수요 증가라고 설명
- 아울러, 마이크론은 2025 회계연도 3 분기(3~5 월) 매출 가이던스를 86 억달러에서 90 억달러로 제시. 당초 월가에서 기대했던 84 억 7,000 만달러를 상회했으며, 회계연도 3 분기 EPS 중간값도 1.57 달러로 시장 기대치 1.52 달러보다 높았음. 이와 관련, 산제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최고경영자(CEO)는 "회계연도 3 분기에 데이터센터 등을 중심으로 D 램과 낸드 플래시 수요가 증가해 사상 최대의 분기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 이에,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뉴욕증시 시간외 거래에서 상승세를 보임
- 한편, 관세청에 따르면, 3 월 1~20 일까지 수출액이 355 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5%(15 억 3,000 만 달러) 증가한 가운데, 반도체 수출은 11.6% 증가한 것으로 전해짐. 반도체 수출 비중은 19.9%로 1.3%포인트 상승했음
-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DB 하이텍, 하나마이크론, 네오셈, 이오테크닉스, 미래반도체,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어보브 반도체, 심텍, 제주반도체, 칩스앤미디어, 에스티아이 등 반도체 대표주(생산)/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재료/부품/ 반도체 장비/ 뉴로모픽 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테마가 상승
# 마이크론 실적
- 데이터 센터, HBM 관련
- 최근 대형 하이퍼스케일 고객들은 2025 년 자본 투자에 대한 강한 연간 성장 전망을 다시 확인했습니다. 우리는 2025 년 서버 출하량이 한 자릿수 중반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전통적인 서버와 AI 서버 모두에서 성장할 것입니다.
- HBM 에 대한 강한 수요를 확인했으며, 2025 년 총 유효 시장(TAM) 전망치를 350 억 달러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 우리는 2025 년 4 분기 기준, HBM 점유율이 전체 DRAM 공급 점유율과 유사한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앞서 언급했듯이, Micron 의 2025 년 HBM 생산량은 이미 모두 판매 완료되었습니다. 또한 2026 년 HBM 공급에 대한 강한 수요를 확인했으며, 고객들과 2026 년 HBM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 중입니다. Micron 의 HBM3E 는 경쟁사 대비 30% 전력 소모 절감 효과를 제공하며, HBM3E 12-high (12H)는 경쟁 8H 제품 대비 20% 전력 효율성 개선과 함께 50% 더 높은 메모리 용량을 제공합니다.
- 우리는 이미 HBM3E 12H 의 대량 생산을 시작했으며, 생산 능력과 수율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5 년 하반기에는 HBM3E 12H 가 대부분의 HBM 출하량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HBM 관련 추가 플랫폼 및 고객 인증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 중입니다. Micron 의 HBM3E 8H 는 NVIDIA 의 GB200 시스템에 설계되었으며, HBM3E 12H 는 GB300 에 설계되었습니다.
- 2025 회계연도 2 분기에는 세 번째 대형 HBM3E 고객사에 대한 대량 출하를 시작했으며, 향후 추가 고객들에게 점진적으로 공급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우리는 2025 회계연도 동안 HBM 부문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가 Broadcom 에 HBM3E 8H 를 공급 준비 중이라는 소식
# (by 메리츠증권) 티엘비,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 사업보고서 기준, 티엘비 Blended ASP 는 전년 대비 12.2% 증가
-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2022 년(OPM: 17.4%)을 뛰어넘는 최고 수준을 기록
2. HLB 간암 1 차 치료제 美 FDA 승인 재차 불발 속 바이오 투자심리 위축 등에 제약/바이오 하락
- HLB 그룹의 간암신약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이 다시 한번 보완요청서(CRL)를 발급, 승인이 불발됐음. HLB, 간암 1 차 치료제(리보세라닙, 캄렐리주맙 병용요법) FDA 로부터 보완요구서한(CRL, Complete Response Letter)수령 공시. 리보세라닙은 캄렐리주맙과 병용요법으로 사용하므로, 캄렐리주맙이 승인요건을 갖출때까지 결정을 보류한다고 밝힘. 이에, HLB 의 미국 내 종속회사 Elevar Therapeutics, Inc.는 상기 보완사항에 대해 신속히 보완하여 FDA 에 재승인 신청을 진행할 예정
- 진양곤 HLB 회장은 이날 오전 유튜브를 통해 미국 FDA 가 간암 1 차 치료제로 신약 허가를 신청한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의 병용요법에 대해 다시 한번 보완 요청서, 즉 CRL 을 보내왔다고 밝힘. 이어 "작년 5 월 1 차 CRL 은 캄렐리주맙의 CMC(제조·품질관리)와 BIMO(임상 현장 실사) 두 가지였으나, 이번 CRL 은 캄렐리주맙 CMC 지적 사항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이유 하나"라며, "CRL 에는 미비점이 무엇인지 적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항서제약은 FDA 와 빠르게 접촉해 보완할 내용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파악한 후에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
- 이 같은 소식 속 제약/바이오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되며 대화제약, 유한양행, 아이큐어, 메드팩토, 오스코텍, 올리패스, 앱클론, 한올바이오파마 등 제약업체, 면역항암제, 유전자 치료제/분석,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등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하락
# (by 현대차증권) 리가켐바이오(141080) BUY/150,000(유지/유지)
ADC 바이오텍의 영광스러운 진화에 동참하라
1) 항암제의 CES, AACR 2025 에서 리가켐이 직접 선보이는 미래
- 전임상 단계의 최신예 항암기술이 선보여지는 4 월 AACR 학회, 초록은 3 월 25 일 공개 예정. 초기 단계의 파이프라인이 가장 많은 있는 리가켐바이오의 최상의 데이터 발표 모멘텀
- AACR 2025 에서 리가켐바이오가 직접 개발하는 2 개의 파이프라인 공개 예정
- Sting agonist ADC LCB39, 단독요법과 면역항암제 병용을 통한 후기 치료로의 포지셔닝 기대
- LCB22A 는 O-결합 글라이코실화 표적 ADC, 기존의 단백질만을 표적하는 항체에서 당화패턴까지 인식시켜 한 단계 개선된 표적능을 보유하여 유효성/안전성 개선이 기대.
- O-결합 글라이코실화 파이프라인은 Go therapeutics 와 공동개발, Go therapeutics 는 유사한 파이프라인을 로슈, 아스텔라스로 기술계약 이력 있어 추가 기술이전도 가능.
2) 파트너사의 3 종 파이프라인도 공개. 재미있는 타겟과 플랫폼 기술의 결과를 확인하자
- 파트너사 프로그램 3 종도 공개. SOTIO Biotech 의 LRRC15 표적 ADC SOT106 공개 예정. LRRC15 는 막통과단백질로 육종, 교모세포종, 흑색종에서 과발현되면서 종양의 전이를 촉진하고,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ment; TME)를 구축.
- AbbVie 도 LRRC15 파이프라인 개발했으나 유효성 부족으로 포기, 최근 Zai Lab 등 재시도 움직임 보이는 중. 2025 년 1 월 중국의 Zai Lab 이 Medilink 와 LRRC15 파이프라인인 ZL-6201의 ADC 콜라보레이션 계약을 체결하면서 재시도 움직임 보이는 중.
- IKSUDA Therapeutics 의 CA242 표적 ADC IKS04 도 공개 예정. CA242 는 췌장암, 대장암, 위암 등에서 암종의 진단 바이오마커로 사용되는 항원. CS5001 로 기술력이 입증된 PBD 약물 마스킹/링커의 이중 기술이 적용
- IKS12 는 FRα를 표적. 2024 년 10 월 EORTC-NCI-AACR 에서 엘라히어 대비 우수성을 확인.
3) 파트너사의 임상 진입도 가속화 중. 쏠쏠한 오노 약품공업의 마일스톤들도 기대된다. - 최근 관심이 높아지는 ROR1 ADC, Cstone Pharmaceuticals 의 임상 1b 상 진입
- NextCure 가 진행하는 B7-H4 ADC 인 LNCB74 의 임상 1 상도 2025 년 1 월 첫 환자 투약 개시
- 오노 약품공업 기술계약도 2025 년 IND 와 임상 1 상 첫환자 투약 등의 추가 마일스톤 수령 기대
4) 좋은 항체들의 재활용: 바이오배터 개발사로의 진화
- 새로운 사업 모델 공개. 현재까지 승인 ADC 들의 입증된 항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바이오배터로 활용. 글로벌 제약사와의 새로운 형태의 파트너링과 플랫폼 확장 가능성 확보
3. 중국인 단체관광객 '한시 비자면제' 3 분기 시행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 비자면제를 오는 3 분기 중 시행할 예정. 이와 관련, 문화체육관광부는 20 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 주재로 경주에서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런 내용의 '방한관광 시장 글로벌 성장전략'을 발표했으며, 우선 전담여행사가 모집한 중국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시 비자면제 시행계획을 다음 달 중 발표할 계획임
- 정부는 베이징·상하이 등 중국 1 선 도시를 중심으로는 20∼30 대 개별관광객을 유치하고, 2·3 선 도시를 겨냥해 스포츠, 미식, 뷰티, 종교, 문화예술 등 테마형 관광상품을 개발해 단체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힘쓸 계획을 내비쳤음. 또한,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 기존 방한 핵심층인 20∼30 대 여성 외에도 타 연령층과 남성 관광객 유치에 힘쓰기로 했으며, 일본인의 3 대 선호 테마인 쇼핑·미식·뷰티를 집중적으로 홍보하는 것에서 나아가, 미래세대는 수학여행, 남성은 패션과 스포츠, 중장년층은 미식과 자연 등으로 세분화해 맞춤형 홍보를 펼칠 계획임
- 콜마비앤에이치, 마녀공장, 한국화장품, 롯데관광개발, 글로벌텍스프리, 호텔신라 등 일부 화장품/면세점/여행/카지노 등 중국 소비 관련 테마가 상승
# (by 이지스리서치)
- Q 상승 함께 P 상승 한국관광공사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1,637 만 명으로 전년(2023 년 1,103 만 명) 대비 약 48% 증가한 반면, GTF 의 지난해 별도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936 억 원과 186 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매출액 483 억 원, 영업이익 79 억 원) 대비 매출액은 94%, 영업이익은 134% 급증했다. 또한,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가 역대 최대였던 2019 년(1,750 만 명) 실적과 비교해도 2019 년(매출액 484 억 원, 영업이익 68 억 원) 대비 매출액은 93%, 영업이익은 174% 급증했다.
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60 조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여파 등에 방산/우주항공 하락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5,950,500 주(3.60 조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예정발행가:605,000 원,1 주당 약 0.10 주 배정,청약예정:2025 년 06 월 03 일~2025 년 06 월 04 일(구주주),상장예정:2025- 06-24) 공시. 이번 유증을 통해 해외 지상 방산, 조선해양, 해양 방산 거점을 확보해 글로벌 방산, 조선해양, 우주항공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밝힘
- 이와 관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향후 수년간 얼마를 벌게 되겠지만, 문제는 투자의 시급성으로 유럽의 라인메탈 등 상당수 경쟁 기업이 최근 투자에 들어가고 있다며, 남은 2∼3 년을 골든 타임이라고 생각하고 이번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안다고 밝힘. 이에 대해, 금감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규모가 크고, 1999 년 이후 첫 유상증자인 점을 고려해 중점심사 대상으로 심사할 계획임
- 메리츠증권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해 공격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면서도 연간 투자 목표액이 한해 2 조원을 초과하지 않기에, 연간 영업이익이 2 조원을 웃도는 회사의 이익체력만으로 가능했을 것이란 아쉬움이 존재한다고 밝힘. 또한, 다올투자증권은 유럽과 중동 방산 현지화와 미국 전투함 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 당위성은 공감하지만, 자금조달 방식은 아쉽다면서도 회사가 제시하는 긴박한 투자 환경과 전략의 성공 가능성에 동의한다면, 유증 충격에 따른 주가하락을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 한화시스템 등 한화 그룹주를 비롯해, HJ 중공업, 쎄트렉아이, RF 시스템즈, 한국항공우주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가 하락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자금사용목적
- 시설자금 12,000 억
- 타법인 24,000 억 > 해외 생산능력 10,000 억 > 해외 방산 JV 6,000 억 > 해외 조선 8,000 억
# (by 엄브렐라 리서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TP 70 만원 → 82 만원 상향 (Bofa)
1. 3.6 조 원 규모 자본 조달 발표 (2025 년 EPS 13% 희석 예상)
• 3.6 조 원 증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은 해외 지상무기체계(1.6 조 원), 조선(8,000 억 원), 국내 방산(9,000 억 원), 무인항공기 엔진(3,000 억 원) 등의 투자·합작·M&A 에 사용될 예정임
2. 해외 현지화의 중요성
• 전 세계 재무장 수요 증가, 유럽 등에서 자국 생산 제품 선호가 높아지고 있어 해외 투자가 필수적임
• 구체적 계획으로 폴란드 현지 천무 생산 기지 구축, 미국·호주·중동 등 지역에서의 추가 협력·투자 등을 검토 중
3. 2035 년 매출/영업이익 목표: 70 조 원/10 조 원
• 2024 년 예상 매출/영업이익(약 11.2 조/1.7 조) 대비 크게 성장한 수치
• 현재 약 32 조 원 규모의 해외 지상무기체계 수주 잔고(약 5 년치 매출 규모)를 기반으로 향후 조선·방산 부문이 성장 동력 역할
4. 투자 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82 만 원으로 상향
• 증자에 따른 EPS 희석 반영, 계열사(한화오션·시스템) 가치, 순차입금 5.9 조 원, 목표 EV/EBITDA 배수를 14.3 배에서 18.9 배로 상향 적용
• 이는 주력 경쟁사(라인메탈) 21 배의 약 10% 할인율을 적용한 것
5. 주가 조정 시 매수 기회
• 한화그룹의 잦은 증자 관행 자체는 새롭지 않으며, 이번 유상증자가 발표된 직후 주가 조정이 발생하더라도 여전히 지상무기체계 등 수주 전망과 지역/제품 다각화 효과가 견조하므로 매수 기회로 판단함
5. 엔비디아 '양자의 날' 행사 속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급락 영향 등에 양자암호 하락
- 지난밤 엔비디아 '양자의 날' 행사에서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유용한 양자 컴퓨터가 나오는 데에는 20 년은 걸릴 것이라고 했던 자신의 지난 1 월 발언에 대해 사과했음. 젠슨 황 CEO 는 1 월 발언과 관련, "내 첫 반응은 '그들이 상장기업인지 몰랐다. 양자컴퓨팅 회사가 어떻게 상장기업일 수 있지'였다"며, 자신의 발언으로 주가가 급락한 부분에 대해 미안함을 나타냈음. 이어, "나는 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해 온 사람으로, 엔비디아를 설립하고 쿠다(CUDA)를 개발해 현재의 컴퓨팅 플랫폼으로 만드는 데 20 년이 넘게 걸렸다"며, "5, 10, 15, 20 년이라는 범위는 나에게 그리 긴 시간은 아니다"라고 덧붙였음. 다만, "이 기술은 엄청나게 복잡해 성숙해지는데 수년이 걸린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자신의 발언을 굽히지는 않았음
- 이에, 지난밤 아이온큐(-9.27%), 디 웨이브 퀀텀(-18.02%), 퀀텀 컴퓨팅(- 11.71%), 리게티 컴퓨팅(-9.24%) 등 양자컴퓨팅 관련주들이 급락했음
- 딥마인드,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엑스게이트, 케이씨에스, 라닉스, 한울소재과학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가 하락
6. 제품 가격 인상에 따른 마진 스프레드 확대 기대감 등에 음식료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3 월 들어 음식료 업종의 주가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최근 음식료 업체들과 외식 업체들의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힘. 이는 원달러 환율과 주요 원재료인 유지, 코코아, 커피 등의 가격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누적된 결과라고 언급. 단기적으로는 연이은 가공식품·외식 업계의 가격 인상이 국내 가공식품 산업과 외식 산업의 수요 회복에 걸림돌이 되겠지만, 음식료 업체들의 가격 인상은 향후 원가 안정 시 마진 스프레드 확대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어진다고 설명
- 아울러, 라니냐 발생 시기가 지연되며 곡물 가격의 하향 안정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글로벌 소맥 생산·수출 상위 기업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종전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음식료 업체들의 수익성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힘
- 푸드나무, CJ 프레시웨이, 빙그레, 에스앤디, 대상, CJ 제일제당 등 음식료업종 테마가 상승
# 계란가격 정상화됨
7. 주주환원 및 이익 여력 확인 속 주가 재 평가 기대감 등에 일부 은행주 상승
- 현대차증권은 은행 업종에 대해 실적 발표 시기를 전후로 주주환원과 이익 여력을 확인하며 주가 재평가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25F ROE 8.7%(-), PBR 0.42x 에 거래되는 등 여전히 수익성 대비 낮은 가격수준을 나타내고 있다며, 실적 발표 전후 꾸준한 이익 및 자본비율 달성에 따른 추가 주주환원 폭과 증익 여력을 확인하며 주가 초과 상승이 전망된다고 언급
- NH 투자증권은 오히려 지금처럼 은행주에 대한 관심이 낮을 때가 은행주 투자 적기라고 판단된다며, 금융지주가 현 수준의 ROE 와 목표 주주환원율을 유지하는 한, TSR(총주주수익률=주가수익률+배당수익률) 관점에서 주가가 하락해도 투자자의 기대 수익률은 은행 예금 금리를 상회한다고 언급
- JB 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신한지주 등 일부 은행 테마가 상승
8. 오는 24 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선고에 따른 尹 대통령 탄핵심판 지연 가능성 등에 정치인맥 하락
- 헌법재판소는 전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선고를 오는 24 일 오전 10 시에 진행한다고 발표. 한 총리 탄핵심판은 지난달 19 일 변론을 마치고 선고만 남겨둔 상태로 법조계에서는 한 총리 탄핵이 기각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어, 한 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조만간 복귀할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함
- 언론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심판 선고일을 윤석열 대통령보다 먼저 지정하면서 정국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고 전해짐. 윤 대통령 사건은 변론 종결 후 23 일 넘게 선고기일을 잡지 못하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 심(26 일) 전후에 선고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음. 다만, 26 일 고교 3 학년 전국 모의고사가 예정돼 있는 점도 변수로 서울시교육청은 선고 당일 헌재 인근 초중고교를 모두 휴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어, 26 일 선고가 이뤄진다면 모의고사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전해짐. 이에, 4 월 초중순까지 선고가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음
- 오리엔트정공, 오리엔트바이오, 디젠스, 형지 I&C, 동신건설, 일성건설 등 정치/인맥(이재명), 평화홀딩스, 대영포장 등 정치/인맥(김문수), 디티앤씨알오, 오파스넷 등 정치/인맥(한동훈) 테마 등이 하락
- 반면, NE 능률 등 일부 정치/인맥(윤석열) 테마는 상승
728x90반응형'주식 이야기 > 이슈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3월 26일) (1) 2025.03.26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3월 25일) (1) 2025.03.25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3월 20일) (0) 2025.03.20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3월 19일) (1) 2025.03.19 [시황] 코스닥, 코스피 한국 증시 시장 분석 (2025년 3월 13일) (1) 2025.03.13